모든리뷰 김설명

반응형

큐베이스10 미디작곡 환경설정하는 방법

큐베이스10 환경설정


안녕하세요! 김설명입니다.

오늘 알려드릴 큐베이스10 정보는 환경설정 하는 방법입니다.

조금 더 편안하고 쉽게 사용하기 위해 어떤 것을 설정해야 좋을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큐베이스10을 이용해서 본격적으로 작곡을 하기전에 작업하기 편한 몇가지 설정을 해볼게요.

미디트랙을 만들어놓은 다음에

가운데 영역을 우클릭해서 add midi track을 클릭합니다

***광고***

***광고***

alt키를 누른채 미디트랙의 프로젝트 영역을 드래그해서 미디이벤트를 만듭니다.

오른쪽 상단을 보면 네모가 그려진 세개의 버튼이 있습니다.



왼쪽 버튼을 클릭하면 인스펙터영역을 숨길 수 있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오른쪽 영역을 숨길 수 있습니다.

물론 한번 더 클릭하면 다시 나타나게 할 수 있죠.



미디 이벤트를 더블클릭합니다. 그럼 아래 영역에 에디터창이 나타납니다.

이때 가운데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쪽 영역이 사라지게 됩니다.

단축키가 따로 있는데 ctrl+alt+e 입니다.




오른쪽에 톱니바퀴가 같이 그려진 버튼을 클릭하면 보다 더 세부적으로 영역설정이 가능합니다.

info line은 자주쓰니까 체크를 해주세요.

status line과 overview는 꺼주는게 편합니다.

***광고***

***광고***

인스펙터창으로 넘어가서 트랙을 클릭하면 인스펙터창에 트랙의 여러속성들이 나오게되는데

인스펙터창을 우클릭해서 안쓰는 항목들은 숨길 수도 있습니다.

처음상태로 돌리고 싶다면 reset all을 클릭하면 됩니다.

setup에서 항목의 순서를 바꿀수도 있습니다.




그다음 preferences를 설정해볼게요.

edit - preferences를 클릭합니다.

다양한 설정이 나오는데 많이쓰는 기능만 보도록 할게요.



editing - tools를 클릭합니다.

[pop-up toolbox on right-click]에 체크가 되어있으면

프로젝트 영역에서 우클릭 했을 때 툴박스가 나타나게 되고

체크가 되어있지 않으면 우클릭을 했을 떄 상황에 맞는 팝업창이 나타나게 됩니다.

단축키를 쓰면 더 편하기 때문에 체크를 해제하도록 하겠습니다.



editors를 클릭합니다.

[double-click opens editor in lower zone]으로 설정하면 이벤트를 더블클릭했을 때

아래쪽 영역에서 에디터가 열리고

***광고***

***광고***

[double-click opens editor in a window]로 설정하면 새로운창에서 에디터가 열립니다.

미디작업을 더욱 넓게 하고싶다면 후자로 설정해주세요.


tranport를 클릭합니다.

[return to start position on stop]에 체크하면

재생을 시작하고 멈췄을 때 멈춘자리가 아닌 시작한 자리로 커서가 돌아갑니다.

똑같은 곳을 반복해서 들을 때 편한 설정입니다.


user interface를 클릭합니다.

큐베이스의 UI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color schemes에서는 큐베이스의 전체적인 색을 변경할 수 있고

custom colors에서는 프로젝트 영역의 배경과 그리드 색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모든 설정을 마친 후에는 OK 버튼을 눌러야 적용됩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