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리뷰 김설명

반응형

큐베이스10 미디작곡 버퍼사이즈 설정하는 방법

큐베이스10 버퍼사이즈


안녕하세요 김설명입니다

오늘 알려드릴 큐베이스10 정보는 버퍼사이즈입니다.

버퍼사이즈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으면 녹음을 아무리해도 싱크가 맞지않아

온전한 작업물을 만들어 낼 수 없습니다.

꼼꼼히 읽어보시고 원활환 작업환경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큐베이스10 버퍼사이즈


버퍼사이즈는 CPU와 관련이 되어있습니다.

CPU는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모든일에 관여하고 큐베이스에서 소리를 재생할 때에도 

사운드데이터를 빠르게 읽어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올 수 있게 합니다.


CPU가 계산하는 시간만큼의 작은 딜레이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만약 CPU가 계산할 수 있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안에 소리를 내라고 설정하면

CPU가 일을 다 끝내지 못해 소리가 끊길 것입니다.


***광고***

***광고***

이런 경우에는 CPU가 여유있게 계산을 끝낼 수 있도록 일정시간 지연시켜야합니다.

예를들어서 CPU가 사운드데이터를 읽고 10ms 이후 작업을 끝내야한다고 설정하면

10ms만큼 여유가 있으니 충분하게 작업을 끝낼 수 있겠죠?


이 여유시간을 버퍼사이즈라고 칭합니다.

트랙이 많고 사용하는 가상악기와 이펙터가 많아 계속 버벅거린다면 버퍼사이즈를 더 올려야합니다.

하지만 올릴 수 있을만큼 올릴 수는 없습니다.

그만큼 반응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죠.


반응속도가 너무 느려지면 녹음할 때 심각한 문제가 생깁니다

박자에 정확하게 맞춰 녹음을 해야하는데 버퍼사이즈를 늘리면 그만큼 밀려서 녹음되기 때문입니다.

마스터키보드를 이용해서 녹음할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때문에 녹음하거나 건반연주를 할 때에는 버퍼사이즈를 줄여야합니다.


***광고***

***광고***


버퍼사이즈 설정하는 방법



Studio - Studio Setup - VST Audio System 밑에 사용중인 오인페이름이 나옵니다.

클릭한 다음 Control Pannel를 클릭하세요.

오디오인터페이스마다 다른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버퍼사이즈를 찾아 원하는 값을 설정해주세요



보통 녹음하거나 건반연주를 할 땐 128로 낮추고

무거운 작업하거나 믹싱을 하실 땐 1024로 설정해주세요.

CPU 성능이 좋다면 계속 낮게 설정해서 작업해도 됩니다.


VST Audio System을 클릭하고 Input Latensy와 Out Latency를 보면 버퍼사이즈에 따라

지연시간이 달라지는 걸 확인할 수 있으실겁니다.

10ms이하 정도로 나오면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